전체 글

전체 글

    파묘 (2024)

    파묘 (2024)

    한국 무속 신앙을 바탕으로 풀어내는 미스터리물. 서구에 유전 감독이 있다면 동양에는 장재현/나홍진이 있다. 어떤 인물을 믿어야 할지 관객이 혼란스럽고 헷갈리게 만드는 구성이 특히 주요한 감독의 장점이고 특징이다. 하지만 파묘는 등장인물들간의 심리전보다 무속 신앙을 기반으로 한 미스터리 공포물에 신경을 더 많이 썼다. 그리고 주인공의 영웅적인 면모를 더욱 살렸다. 그러다보니 주인공 4인의 캐릭터성이 두드러지진 않았다. 특히 유해진은 기독교를 믿는 시체 관리사 이상도 이하의 역할도 하지 않아서 아쉬웠다. 툭툭 개그를 던지는 정도로 사용된 느낌. 오히려 일제 강점기 장군의 여동생 서사가 더 강하게 느껴졌다. 캐릭터는 그를 둘러싼 주변인이 견고할 수록 힘이 생기는 것 같기도 하다. 전반적으로 민족적인 정서가 강..

    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졌다 (2023)

    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졌다 (2023)

    [이야기의 힘] 이야기는 영화와 문학뿐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보를 전달하는 모든 형식이 이야기다. 작가들은 이야기의 힘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한다. 비단 그 영향력을 강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어떻게 좋은 이야기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지도 강조한다. '이야기' 자체를 설명하는 서사 문화비평학자의 측면에서 그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는 책이다. 우리는 이미 오래전부터 이야기가 심심풀이나 즐거움, 또는 도덕과 교육의 매개체 이상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왜 인간은 스토리에 매달리는가] 첫째로, 인간은 부조리와 인력으로 어찌할 수 없는 우연 속에서 살아갈 힘과 자기효능감을 얻기 위해 스토리에 의존하고 매달린다. 번개로 인해 자신이 일궈왔던 모든것이 불타 없어졌다. A는 번개가 내리치는 이유를 파악하여 피뢰침을 세..

    생각의 탄생(2007)

    생각의 탄생(2007)

    [논리는 직관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했다.] 불확실한 프로젝트에 도전하는 것에 지쳤었다. 똑같은 자료가 코에걸면 코걸이, 귀에걸면 귀걸이가 되었다. 정답과 오답이 있는 업무를 하면서 틀리지 않은 일을 하고 있다는 효능감을 느끼고 싶었다. 그렇게 데이터 분야로 전직했다. 하지만 직관 없이 일을 잘 해내는 건 무리라는 걸 깨닫는다. 프로젝트의 시작은 직관이다. 그렇지 않으면 정답을 확신할 수 있는 구식의 일만 답보할 뿐이다. 이 책은 논리를 찬양하고 이성을 숭배하는 사회에서 한 번쯤 곱씹어 보아야할 주제를 던진다. 직관이 논리보다 우월하다는 것이다. "우리는 진리를 찾아내기 위해 모형을 사용하는가? 아니면 진리를 알아낸다음 이를 설명하기 위해 수학 공식을 가동하는가? 답은 후자다." 지금은 '문과 남자의 과학..